시작: 블로그의 방향성

블로그를 시작하는 이유💬

최근 몇 년 간 기록의 중요성을 체감했습니다. 2019년 여름, 한 스타트업에서 딥러닝 연구 인턴으로 근무했을 때 매일 업무 내용을 Done/To-do 형식으로 나눠서 연구 일지를 작성해야 하는 소업무가 있었습니다. 그것이 습관이 되어 인턴 이후 대학원 석사 과정에 들어가서도 매일 빠짐없이 일지를 작성했고 학위를 마친 지금도 쭉 이어지고 있습니다. 

특히나 제가 속했던 연구실에서는 Done/To-do를 격주에 한 번 발표하는 랩 미팅 시간과, 약 6개월마다 한 번은 연구실 구성원 전체 앞에서 반기 리뷰를 하는 그룹 미팅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, 매일 일지를 작성하는 습관은 대학원 생활 내내 큰 도움이 됐습니다. 수업 과제를 할 때도, 보고서를 쓸 때도, 발표 자료를 만들 때도, 과제 제안서를 쓸 때도, 논문을 쓸 때도.... 매일 1분씩 투자해서 개인 슬랙(Slack) 채널에 남겨뒀던 기록들은 항상 큰 힘을 발휘했습니다. 이에 관한 구체적인 경험도 곧 글로 옮길 예정입니다.

본 블로그에서는 제 삶을 개인적으로만 기록했던 것에서 한발짝 더 나아가려 합니다. 석사 학위 과정 중 1년 간 학부생을 대상으로 상담 조교 (counselling assistant) 역할을 맡았었는데, 카톡이나 메일 등 매체의 한계도 있었고 상담 시간도 현실적으로 1시간 정도로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도움이 필요한 분들에게 충분히 이야기를 들려드리지 못한 게 아쉬웠습니다. 특히 많은 분들이 '학부 생활을 어떻게 했는지', '어떻게 공부하는지', '대학원 생활은 어땠는지', '교환 학생 때의 경험은 어떤지' 등 몇 마디 말로 다 표현하기 어려운 스토리들을 공통적으로 궁금해해주셨습니다.

그래서 블로그라는 매체를 통해 매일을 기록하면서 저라는 사람의 과거, 현재, 미래를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과 나누고자 합니다. 그렇게 쌓인 글들은 제게 희미한 기억에만 의존해서 회상하는 게 아니라 체계적으로 과거를 반추하며 미래를 대비하고 매일을 알차게 살 수 있도록하는 수단이 될 것이며, 누군가에게는 진로나 학업 고민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.

San Lorenzo River Railroad Bridge, Santa Cruz, California


블로그의 구성📝

앞으로 본 블로그를 크게 기록, 영감, 회고라는 세 섹션으로 나누어 글을 올릴 생각입니다. 

1. '기록'은 현재를 남기기 위한 섹션입니다. To-do/Done 형식으로 간단한 글을 올릴 수도 있고, 공부하고 있는 논문 요약/비판이나 당장 하고 있는 개인 실험의 결과 등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. 비교적 간결하고 기민하게 채울 섹션입니다. 따라서 가장 정제되지 않은 내용을 올리겠네요. 😄🙏

2. '영감'은 다가올 미래를 준비하는 섹션입니다. 당장은 수행하기 힘들지만 미래의 어느 때 (수 주 또는 수개월 안으로) 시간이 난다면 진행해보면 좋을 사이드 프로젝트들과 연구 아이디어들을 주로 게시할 계획입니다. 영감은 결국 현재의 기록을 차근차근 쌓아나갈 때 발견할 수 있습니다. 중간 정도 정제된 내용이 올라가겠으나 견고한 논리보다는 직관에 의존적인 내용도 많겠습니다.

3. '회고'는 그렇게 모아진 기록과 영감을 되돌아보며 제 과거를 평가하는 섹션입니다. 기록된 내용들이 현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회고하거나, 과거에 떠올랐던 영감들을 얼마나 수행했는지, 그 아이디어를 어떻게 수정했는지, 직관적인 결과가 그대로 도출됐는지 등을 재고해보는 글을 올릴 계획입니다. 가장 정제된 글로써 반기 단위의 도약을 위해 제게 꼭 필요한 단계입니다.

평소에 위 분류를 즐겨 활용합니다. 처음에는 단순 Done/To-do 기록만 남기다가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필요에 의해 점점 형식을 발전시켰습니다. '영감'은 연구 주제를 찾기 위해 애써 아이디어를 짜내서 기록하던 게 습관으로 이어졌고, '회고'는 반기 리뷰 미팅을 준비하던 게 이어졌습니다. 특히 논문을 완성해가던 석사 세번째 학기에는 수시로 가설, 실험, 논거들을 회고하며 부족한 것은 없는지 차근차근 되짚어보며 연구를 진행하였고, 덕분에 첫 논문 작성을 수월하게 마무리했습니다.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CS 285 (Deep Reinforcement Learning) 요약 및 정리 (Lecture 2: Supervised Learning of Behaviors)

기록: 강화학습 독학을 위한 자료들 (Materials for Studying Reinforcement Learning from Scratch)